요즘처럼 갑작스럽게 쏟아지는 집중호우 속에 감염병 위험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장마철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을 알고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최근 질병관리청의 공식 발표 내용을 통해 시민들이 꼭 알아야 할 예방 정보가 공개되었습니다.
집중호우 후 가장 위험한 감염병은?
침수된 지역에서는 장티푸스, A형간염, 레지오넬라증 등의 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가 주요 원인이 되는 수인성 감염병은 장마철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유형입니다.
![]() |
집중호우 지역 감염병 예방 수칙으로 건강 관리 |
실생활에서 꼭 실천해야 할 감염병 예방 수칙
질병관리청은 다음과 같은 수칙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
- 끓인 물 마시기 또는 생수 이용하기
- 손 씻기 철저히 하기 (외출 후, 음식 준비 전/후, 화장실 이용 후)
- 익힌 음식만 섭취하고 보관에 주의하기
- 침수된 물품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
감염병 발생 시 대처 방법
고열, 설사, 구토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타인과의 접촉을 피해야 하며, 빠른 신고가 2차 감염을 막는 열쇠입니다.
침수지역 복구 작업자라면 반드시 숙지해야 할 것
침수 지역에서의 복구 작업은 감염병 노출 가능성을 더욱 높입니다. 질병관리청은 장갑, 마스크, 장화 등 개인보호장비 착용을 반드시 권장하며, 상처가 난 부위는 노출을 피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개인보호장비 착용으로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
표 : 감염병 예방 수칙 요약
예방 상황 | 필수 수칙 |
---|---|
물 섭취 시 | 끓이거나 생수만 사용 |
음식 섭취 시 | 완전히 익힌 음식만 섭취 |
위생 관리 | 손 씻기 철저, 침수물품 소독 |
작업 중 | 보호장비 착용, 상처 노출 금지 |
Q&A
Q1. 침수된 지역에서는 어떤 감염병이 가장 우려되나요?
A1. 장티푸스, A형간염, 레지오넬라증과 같은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우려됩니다.
Q2. 물은 꼭 끓여 마셔야 하나요?
A2. 침수로 오염된 수돗물 사용은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끓이거나 생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Q3. 증상이 의심되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A3.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해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Q4. 복구 작업 시 감염병을 막기 위한 조치는?
A4. 개인보호장비 착용과 손 씻기,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Q5. 증상이 없더라도 예방접종이 필요한가요?
A5. 지역 상황에 따라 A형간염 등 예방접종이 필요할 수 있으니 보건소에 문의하세요.
마무리하며
폭우가 지나간 후, 질병은 조용히 스며듭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예방 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한다면, 이 여름도 건강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제안하는 수칙을 따라 나와 가족의 건강을 지켜보세요!